전국 곳곳에 집중호우로 몸살을 앓는 가운데 북한이 어제 오물풍선을 기습 살포하며 지난달 26일 이후 22일 만에 도발을 재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5월 말부터 시작된 오물풍선 살포는 벌써 8번째입니다. <br /> <br />오전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200여 개의 오물풍선을 부양했고 우리나라에 40여 개가 낙하한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을 내놓았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 보시는 영상, 경기도 고양시 일산 서구에서 들어온 시청자 제보 화면인데요. <br /> <br />언뜻 보면 새 떼가 날아가는 듯하죠. <br /> <br />모두 북한에서 살포한 오물풍선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지난 14일과 16일 북한에서 우리나라 민간단체가 보낸 대북전단이 발견됐다며 “처참하고 기막힌 대가를 각오해야 할 것”이라고 위협의 목소리를 높였는데요. <br /> <br />장마철 오락가락 기후로 풍선 살포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상황 속에도 북한이 풍선을 보내는 이유를 놓고 한 북한 관련 전문가는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. <br /> <br />[김열수 /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실장 : 우리 (민간단체)가 (풍선을) 보내면 즉각적으로 북한도 대응해 왔잖아요. 군에 지시가 내려갔을 거 아닙니까. 바로 풍선 날려 보내라. 그러니까 이제 그 풍선을 보낸 거거든요. 날씨가 안 좋고 비가 오고 그런데도 바람만 조금 부니까 그냥 보낸 거거든요. 책임을 면하려고 하는 거죠. 그만큼 통제사회 속에서 ‘안 된다'라고 ‘못 합니다'라고 보고를 못하는 거에요. 그 문제가 가장 큰 거죠.] <br /> <br />북한이 오물풍선 살포를 시작한 이유는 우리 민간단체가 보내는 전단을 쓰레기로 규정하고 맞대응을 시작하면서부터입니다. <br /> <br />앞선 오물풍선의 내용물을 보면 초기에 퇴비와 인분 등을 보내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았고, 이후 신문과 생활용품 등을 담아 북한 사회의 실상이 적나라하게 드러나자, 이제 빈 종이를 보내오던 상황인데요. <br /> <br />이제는 김여정이 최근 언급한 ‘새로운 대응'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[김열수 /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실장 : 종이가 굉장히 귀하기 때문에 그걸 그렇게 빈 종이 잘라서 보낼 수 있는 그런 수준이 못 돼요. 그 새로운 대응 방법이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합리적인 생각이 있고 그다음에 비합리적인 대응 방식이 있을 텐데 합리적인 대응 방식이라고 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북한 체제를 선전하고 윤석열 정부를 비판하는 그런 내용의 전단을 담아서 보내는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정지웅 (jyunjin7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719131927304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